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시·도교육청 인권보호관들이 광주에 모여 인권보호 제도의 법제화와 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15일부터 16일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2025 전국 지자체 인권보호관협의회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5·18민주화운동 45주년과 내년 ‘2025 세계인권도시포럼’을 앞두고 인권보호관협의회 의장도시인 광주에서 열렸다. 전국 지자체와 교육청 인권보호관들이 참석해 지방정부 인권구제기구의 역할과 향후 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워크숍 첫날에는 세계인권도시포럼 개회식과 전체회의 참석 후 인권보호관 회의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는 지역별 인권 현황과 주요 이슈를 공유하고, 차기 개최지 선정 등 협의회 운영과 관련된 사안을 논의했다.
이튿날 열린 토론회에서는 ‘인권정책기본법안과 지방정부의 대응전략’을 주제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한상희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가 발제를 맡아 인권정책기본법안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지방정부가 대응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인권보호관 제도의 법제화 필요성 ▲지방정부 인권기구의 독립성 강화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공동 대응 체계 구축 등을 핵심 의제로 다뤘다. 특히 인권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 행동 기반 마련에 공감대를 이뤘다.
전진희 상임인권옴부즈맨은 “이번 워크숍은 지방정부의 인권보호체계를 한 단계 끌어올리고, 전국적 협력을 본격화하는 출발점”이라며 “광주는 앞으로도 인권의 가치를 지키고 확산하는 중심도시로서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지방정부 차원의 인권 보장 기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지역 간 연대와 실질적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