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최영규 기자 | 양천구청(구청장 이기재, 국민의힘)이 김건희 특검의 수사 대상인 D용역 업체에 수차례 공공용역을 발주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김건희 특검은 최근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 과정에서의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이며, 관련해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김선교 의원, 그리고 고속도로 설계에 참여한 D업체 고위 임원 등을 출국금지 조치하고 강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런 가운데 양천구가 이 수사 대상 업체인 D사에 반복적으로 용역을 맡긴 사실이 확인되면서, 이기재 구청장의 과거 원희룡 전 장관 보좌관 경력과 연결된 정무적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약 19억 원 규모의 하수도 통합 건설사업 용역이 D사에 긴급공고를 통해 발주되기도 했다.

양천구는 이 외에도 각종 인사 및 예산 집행 과정에서의 불투명성과 특혜 의혹으로 매년 구의회로부터 지적을 받아왔다. 민선 8기 출범 직후에는 성범죄 전과자를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으로 임명하고, 전문성이 부족한 인물을 감사담당관으로 임용하는 등 보은인사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대표적 행사로 홍보한 ‘Y박람회’ 역시 구의회의 도마에 올랐다. 주행사 대행업체를 긴급입찰로 선정하고, 10억 원 규모 예산을 20여 건의 수의계약으로 쪼개어 발주한 점, 계약 과정 전반의 절차적 불투명성 등에서 구의원들의 거센 질타를 받았다.
양천구는 2023년 한 해 동안에만 125건의 긴급공고를 냈고, 지난해 11월 현재까지 73건에 달하는 긴급공고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긴급공고는 명확한 법적 사유가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나, 양천구는 “사업의 성공적 완수를 위해 필요했다”는 추상적 사유로 해명하며 논란을 키우고 있다.
양천구청 측의 이 같은 행정관행은 김건희 특검 수사 대상 업체와의 수차례 거래 정황과 맞물려, “구정 운영 전반이 정실과 특혜에 물든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구민 사이에선 “양천구가 특검 수사의 지자체 수사 확산 진원지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본지는 양천구의 불투명한 예산 집행과 외부 용역 관행에 대해 정보공개청구를 진행했으며, 추가 취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실태를 보도할 예정이다.
시민사회단체와 독자들의 제보를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