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시 광산구(구청장 박병규)가 시민과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일자리 백서’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행정 중심의 정책 설계에서 벗어나, 주민들이 묻고 답하는 풀뿌리 사회적 대화 방식으로 추진 중인 이번 논의가 지역 일자리 정책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광산구는 최근 전남 신안 라마다플라자호텔에서 제4차 지속가능일자리 분과회의를 개최하고, 백서 작성을 위한 본격적인 사회적 대화에 나섰다. 이날 회의에는 50여 명의 분과원이 참석해 ‘백서’ 주제에 대한 분과별 토론과 종합 심층 논의를 진행했다.
‘백서’는 지난 해 광산구가 대한민국 최초로 발간한 일자리 질문서 ‘녹서’에 담긴 시민들의 목소리에 대한 응답을 정리하는 문서다.
녹서에는 지역 시민 1,400여 명의 일자리 관련 질문이 담겼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해법이 올해 백서로 이어지는 셈이다.
회의에 참석한 분과원들은 “일자리 문제의 본질은 단순히 수치상의 고용 확대가 아닌 ‘질의 개선’에 있다”며, “청년과 노동자들이 머무르고 싶은 일자리, 기업이 인재를 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일자리를 경제 영역의 문제로만 보지 않고, 개인의 삶터에서 비롯되는 생활 전반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인식도 공유됐다. 이는 일자리 정책이 삶의 질, 지역 정주성, 공동체 회복과도 깊이 연결돼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광산구는 이번 분과회의를 포함해 ▲전문가 자문 ▲21개 동 순회형 ‘찾아가는 대화마당’ ▲온라인 의견 수렴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시민 목소리를 수렴하고 있으며, 오는 9월 최종 백서를 제작해 발표할 계획이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이번 사회적 대화는 단순한 고용정책을 넘어, 사람 중심의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설계하기 위한 시도”라며 “이 과정 자체가 광산구형 민주주의 실험이자 대한민국 지방자치의 성과로 기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광산구는 지난해부터 시민과 노동자가 주도하는 일자리 대화마당을 꾸준히 운영하며, 현장의 질문과 지역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한 일자리 정책 모델을 발전시켜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