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장성군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행정 고도화와 현장 중심의 민원서비스, 외국인 계절근로자 인권 보호까지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군민 중심 행정’ 실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먼저 군은 최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총 4회에 걸쳐 ‘인공지능 정보화 교육’을 실시했다. 공직자들이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고,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위해 기획된 이번 교육은 챗GPT 기반의 ‘AI비서’ 활용법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문서 작성, 회의록 정리, 이미지 생성, 번역 등의 실무 예시를 통해 즉시 적용 가능한 내용을 담았으며, ‘나만의 AI비서 만들기’ 교육도 포함됐다. 지난 21일에는 장성군의회 의원과 의회사무과 직원을 대상으로 별도의 ‘대화형 인공지능 활용 교육’도 실시해 의정활동 지원에도 AI 도입을 본격화했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앞으로도 변화하는 행정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군민들에게 더욱 편리하고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장성군은 지적재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찾아가는 현장사무소’도 운영 중이다. 군은 22일 서삼면 송현지구를 시작으로, 오는 8월 4일까지 7개 사업지구에서 현장사무소를 운영하며 토지소유자 및 이해관계인을 대상으로 경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드론 항공영상과 측량자료를 활용해 현실 경계를 조사·판단하고 있으며, 사전 협의가 끝나면 ‘지적확정예정조서’를 작성해 개별 통보할 계획이다. 경계에 이견이 있는 경우에는 통보일로부터 20일 이내 의견서를 제출할 수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장중심의 대면 상담을 통해 경계분쟁을 예방하고, 군민 재산권 보호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장성군은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인권 보호에도 나섰다. 22일 남면 지역 농가에서 열린 ‘한글 이름 명찰 달아주기’ 행사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 282명 전원에게 한글 이름이 적힌 명찰을 전달했다.
이는 장성군다문화가족협의회의 제안을 수용한 것으로, 현장에서 근로자 이름이 아닌 ‘야’, ‘어이’ 등 인격을 침해하는 표현이 빈번하게 쓰이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기획됐다. 이름은 근로자와 사전 협의해 간결하고 부르기 쉬운 한글식으로 정해졌다.
김 군수는 “오늘의 작은 변화가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존중 문화를 정착시키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람 중심의 행정을 통해 건강한 농촌 공동체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장성군은 디지털 전환, 현장 밀착형 행정, 인권 존중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행정 전반의 신뢰와 품질을 높여가고 있다.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군민 체감 행정’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