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광주시의회 “광주형일자리, 청년이 떠나지 않는 도시 해법 돼야”

- 박미정‧채은지 의원, 청년 상생형 일자리 토론회 개최… 광주형 일자리 개선 방향 논의

 

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시의회가 청년 유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일자리 해법 마련에 나섰다.

 

광주시의회 박미정, 채은지 의원은 5일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실에서 ‘청년 상생형 일자리 확대 지속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광주형 일자리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을 두고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이번 토론회는 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와 공동 주최로 진행 됐으며, 청년층 유출이 심화되고 있는 광주의 현실에서 지속 가능한 일자리 정책이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어졌다.

 

광주는 지난 5월 기준 인구가 130만 명대로 떨어지며, 2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청년층의 순유출이 전국 최고 수준에 달하며, 일자리 부족과 주거·정주 여건 악화가 심각한 과제로 지적된다.

 

첫 발제자로 나선 정준현 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 지부장은 “‘광주형 일자리 버전2’는 노동권 존중과 노사 상생에 기반해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연간 15만 대 이상의 차량 생산능력을 확보해 완성차 공장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김다정 광주청년유니온 위원장은 ‘광주형 일자리 10년, 적정사회를 위한 제안’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맡아, “적정임금 과 노동조건이 보장되지 않는 광주형 일자리는 청년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아니다”라며 “성공적인 정책이 되려면 사회적 대화 확대와 성평등, 녹색전환 등 시대적 가치가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주섭 광주경실련 사무처장, 김승원 금속노조 광주글로벌모터스지회 교육선전부장 등도 토론자로 나서, 광주형 일자리의 한계를 짚고 제도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채은지 시의원은 “광주형 일자리는 이제 단순한 상징 정책이 아니라,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노동환경 개선과 산업 다양화로 확장돼야 한다”며 “청년이 머물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좌장을 맡은 박미정 시의원은 “이번 토론회는 청년 정책을 점검하고, 광주형 일자리의 새로운 방향을 고민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오늘 논의된 제안들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시의회 차원에서도 적극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