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의회는 26일, 도의회 중회의실에서 '전라남도 시군 맞춤형 인구정책 모델 개발 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는 전남 22개 시군의 인구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지역별 맞춤형 인구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한 자리였다.
연구는 지난 4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로 청년 정착과 귀농·귀촌 활성화, 기업 유치 등 다양한 인구 유입 전략이 포함된 정책 모델이 제시되었다. 이 모델은 전라남도의 각 시군의 특성에 맞춰, 인구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지방소멸 대응기금을 활용한 실행 전략이 논의되며 정책의 실효성을 강조했다.
용역을 맡은 전남연구원은 ▲시군별 인구구조 변화 및 감소 원인 분석 ▲인구 유입 촉진을 위한 맞춤형 정책 모델 구축 ▲재정 확충 및 제도 개선 방안을 중점적으로 발표했다. 그뿐만 아니라,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과 연계된 전략도 함께 제시되었다.
이현창 대표의원은 “이번 보고회에서 나온 정책 방안들은 전남 지역 인구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라며, “이 연구 성과가 형식적인 결과에 그치지 않도록 조례 개정과 예산 편성, 현장 적용으로 이어지도록 의회가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도민들이 실제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내년부터 진행될 신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실행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현창 의원은 의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사업 추진을 촉구하며, 도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 결과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도정과 공유되어 정책으로 이어지며, 전라남도의 인구위기 극복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전라남도의회는 연구 활동을 통해 발굴된 정책들을 조례 개정과 예산 확보로 연결시키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인구 유입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전남도의회는 연구회 활동을 통해 인구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라남도의 미래를 위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이 연구회는 이현창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태균 의장(광양3), 서동욱 의원(순천4), 박선준 의원(고흥2), 이규현 의원(담양2), 김재철 의원(보성1), 김화신 의원(비례), 모정환 의원(함평) 등 총 8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책 간담회와 현지 활동 등을 통해 연구된 정책을 조례 개정과 예산 확보로 전남 특성에 맞는 인구 유입 사업으로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