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최영규 기자 | 27일 마포구의회(의장 백남환) 제27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고병준 의원(공덕), 안미자 의원(서교·망원1), 채우진 의원(서강·합정)이 복지 사각 해소와 주민 혜택 강화를 촉구하며 5분 자유발언에 나섰다.
가장 먼저 발언한 고병준 의원은 복지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인 ‘경계선 지능인’ 지원을 촉구했다. 경계선 지능인은 법적 기준으로 장애인에 해당되지 않지만, 주변의 도움 없이는 취업, 교육, 사회활동 등의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이른다.
‘경계선 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조례’를 대표 발의한 바 있는 고 의원은 해당 조례를 기반으로 한 대안 경계선 지능인의 특성과 역량에 맞는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하며, ▲경계선 지능인 평생교육 지원 조례에 따른 맞춤형 직업훈련 체계 마련 ▲공공·민간 협력 기반 일자리 창출 ▲사회적 인식 개선 캠페인 추진 ▲돌봄 및 상담 지원 강화 등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고 의원은 “복지란, 제도 밖 단 한 사람도 외면하지 않는 것”이라며 “마포구가 먼저 모델을 만들어 전국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안미자 의원은 대장-홍대선 광역철도 홍대입구역 역사를 홍대 레드로드 R1, R2 지역(2호선 홍대입구역 8번출구 인근)이 아닌 홍대입구역 사거리로 변경해 줄 것을 촉구했다.
안 의원은 레드로드 R1·R2 지역에 역사 설치 시 ▲보행자 안전 문제, ▲홍대의 문화예술적 상징성 훼손, ▲지역 상권 피해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함을 언급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대장-홍대선 홍대입구역 역사는 최초 예정지였던 홍대입구역 사거리에 설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이 안 의원의 주장이다.
안 의원은 “지역 발전의 디딤돌이 되어야 할 대장-홍대선 광역철도로 인해 지역 주민 간의 갈등까지 야기되고 있다”며, “국토부와 서부광역메트로가 이같은 상황에 대한 방관을 멈추고, 광역철도 역사 위치를 안전하고 합리적인 장소로 변경하는 안을 수용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채우진 의원은 당인리 화력발전소 인근 주민들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을 거듭 촉구했다. 지난 제277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당인리 화력발전소 지역자원시설세의 피해지역(서강·합정동) 우선 사용을 촉구한 채 의원은 1930년대부터 당인리 화력발전소가 운영되는 동안 감내한 피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다시 한번 촉구했다.
마포중앙도서관, 365구민센터와 같은 주민편익시설이 건립되었지만, 마포구민을 위한 시설이거나 발전소 피해에 대한 직접적 보상이 없다는 것을 채 의원은 강조했다. 또한 지난 7월 발전소 굉음으로 인한 사고를 언급하며,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발전소 운영으로 인한 위험에 대한 직접적 보상을 촉구했다.
채 의원은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며, “발전소 인근 주민에 대한 시설 이용료 감면, 수강 우선권 부여 등의 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발언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주민들을 향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환기시키며, 마포구의회가 지역 현안을 선제적으로 해결해 나갈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