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이형완 의원, 40년 된 영산강 하굿둑… 생태·경제 해법은 ‘시범적 해수유통’

- 1981년 건설된 하굿둑, 수질 악화·어민 피해 등 부작용 누적
- 낙동강·금강 개방 사례 통해 생태 복원 가능성 확인
- 시범적 해수유통·민관협의체 구성 등 네 가지 과제 제시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목포시의회 이형완 의원이 영산강 하굿둑 개방과 단계적 해수유통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제기하면서 지역사회에 큰 울림을 던졌다.

 

이 의원은 16일 열린 목포시의회 제400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영산강을 살리기 위해서는 시범적 해수유통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지금이 행동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영산강 하굿둑은 1981년 농업용수 확보, 홍수 방지, 간척지 개발을 목적으로 건설됐다. 당시에는 국가적 필요가 우선이었지만, 40여 년이 흐른 지금은 생태계 파괴, 수질 악화, 어민 생계 위협, 지역경제 침체 등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기수역 생태계가 붕괴되면서 연어나 실뱀장어 같은 회유성 어종이 사라졌고, 어획량은 눈에 띄게 줄었다. 목포와 인근 지역 어민들은 어자원 감소로 생계를 위협받고 있으며, 매년 여름 반복되는 녹조와 악취는 시민들의 건강과 생활 환경을 위협하는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해법으로 낙동강과 금강 하굿둑 사례가 제시됐다. 낙동강의 경우 부분적 상시 개방이 이뤄진 이후 수질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연어·실뱀장어 등 회유성 어종이 돌아오고 있다는 성과가 보고됐다.

 

금강 하굿둑도 전면 개방을 추진하며 생태 복원을 통한 지역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산강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며 “해수유통은 환경문제가 아니라 생태·경제를 아우르는 종합 해법”이라는 설명이 뒤따랐다.

 

사실 영산강 하굿둑 해수유통 논의는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제기돼왔다. 환경부는 2021년 ‘영산강 하굿둑 관리방안 연구용역’ 결과를 통해 해수유통을 통한 생태 복원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는 농업용수 확보 문제와 수질 관리, 이해관계자 간 갈등 등이 얽히며 논의가 쉽게 진전되지 못했다. 이형완 의원은 바로 이 지점에서 정책 의지와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발언에서 ▲시범적 해수유통을 통한 데이터 확보 ▲민관협의체 구성으로 이해관계자 참여 확대 ▲생태 복원을 활용한 지역경제 발전 전략 수립 ▲중앙정부와 전라남도의 정책 전환 등 네 가지 과제가 제시됐다. 특히 민관협의체를 통한 사회적 합의 도출은 향후 정책 실행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목포와 인근 지역은 오랜 세월 영산강과 함께 살아왔다. 강은 물줄기가 아니라 주민들의 삶과 직결된 생명줄이다. 발언을 마무리하며 “해수와 담수가 자유롭게 흐르는 본래의 강으로 되돌려야만 생태계가 살아나고, 그 속에서 어민들의 삶과 지역경제가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됐다. 이어 “생명이 돌아오고 지역이 살아 숨 쉴 수 있도록 지금부터 행동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덧붙여졌다.

 

영산강 하굿둑 해수유통 문제는 환경 복원의 과제가 아니라 지역사회의 앞날과 직결된 과제로, 앞으로 지역 여론과 정책 추진 방향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