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민선 8기 취임 1주년을 맞은 장세일 영광군수가 21일 영광군청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년은 위기를 넘어 영광의 새로운 반등을 준비한 시간이었다”며 영광군정의 핵심 전략보다 ‘실행력’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날 현장에는 지역 기자단과 실·단·과·소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해 군정 주요사업의 방향과 속도에 대해 날카로운 질의가 이어졌다.
영광군은 2024년 10월 공약 타당성 검토를 시작으로 11월 공약 실천계획 수립, 12월에는 총 50개 공약 확정을 마무리하며 공약 이행 체계를 사실상 제도화했다.
군수실 상황판을 통해 공약별 이행률과 문제점을 상시 점검하고, 주민배심원단 제도를 도입해 공약 추진을 ‘수치가 아닌 공개 검증으로’ 전환한 것이 가장 큰 변화로 꼽힌다.
실제 군민 대상 만족도 조사에서도 “공약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응답이 다수 확인된 것으로 알려져, ‘보고 받는 행정’에서 ‘보여주는 행정’으로의 전환이 현장에서 가장 빨리 감지된 분야라는 평가다.
가장 관심이 집중된 질문은 단연 정부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 결과였다.
영광군은 전남 내에서도 선제적으로 준비해온 지자체였기 때문에 탈락 소식을 두고 지역 여론이 크게 출렁인 바 있다.
장세일 군수는 이에 대해 “아쉬움은 분명하다”면서도 “국회 추가 예산 요구, 정부 차기 공모까지 끝까지 대응 중이며 재생에너지 기반의 영광형 기본소득 모델로 재설계 중”이라고 선을 그었다.
특히 영광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산업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확보된 현실을 기반으로 “국비 의존형 기본소득이 아니라 수익 순환형 구조를 군이 직접 설계하겠다”는 구상을 분명히 했다.
장 군수는 “지난 1년간 시행착오와 부족함도 분명 있었다”며, 스스로의 톤을 낮추는 듯했지만 동시에 “현장에 서 있으면 애초에 설계했던 정책의 속도와 우선순위가 계속 달라진다. “군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정책은 과감히 수정했다”고 언급했다.
행정보고용 성과보다 현실 체감도가 우선이라는 관점을 명확히 드러낸 것이다.
끝으로 장 군수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며 “더 낮은 자세로 군민과 맞서 듣는 행정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견에서 ‘포기는 없다’는 메시지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전체 기조는 단 한 번도 속도를 늦춘 적 없다는 방향성을 분명히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