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M&A) 절차를 진행하는 가운데, 인수 의향서를 제출한 후보가 등장하며 회생 절차에 청신호가 켜졌다. 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매각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이날 오후 3시 마감한 인수의향서 접수 결과, 두 곳의 기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 중 한 곳은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하렉스인포텍으로 알려졌다. 간편결제 플랫폼 ‘유비페이’를 운영하는 핀테크 기업으로, 유통과 데이터 기술을 결합한 사업모델을 추진해온 곳이다. 홈플러스는 11월 3일부터 21일까지 예비실사를 진행한 뒤, 같은 달 말 최종 낙찰자를 결정할 계획이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선제적 구조조정을 위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고, 6월 법원으로부터 인가 전 M&A 허가를 받아 매각 절차를 진행해왔다.
당초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우선협상대상자를 찾으려 했으나 진전이 없자, 공개 경쟁입찰로 방식을 전환했다.
이번 인수 의향서 접수로 M&A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면서, 법원에 요청 중인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 연장에도 명분이 생겼다. 홈플러스는 다음 달 10일까지 계획안을 제출해야 하지만, 법원이 본입찰(11월 26일)까지는 시간을 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업계에서는 농협경제지주(NH경제지주)의 움직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농협은 홈플러스와 연간 4072억 원 규모의 거래를 하고 있어, 인수 시 실익이 크다는 분석이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홈플러스 청산은 단순한 기업 문제를 넘어 국가 농산물 유통망 붕괴의 신호”라며 “농협이 인수 여력을 이유로 손을 놓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홈플러스는 연간 1조8800억 원 규모의 국산 농축산물을 판매하며 5만여 농어가와 직거래하고 있다”며 “농협이 인수에 나선다면 농민 판로 확대와 소비자 공급 안정이라는 공익적 효과가 크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 노동조합은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정부의 회생 개입을 촉구하는 릴레이 108배를 진행했다. 노조는 “홈플러스 청산 시 33만명에 달하는 일자리가 위험하다”며 “정부가 즉각 나서 청산을 막고 회생을 지원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마트산업노조는 자체 분석을 통해 홈플러스 폐점 시 주변 상권 매출 감소로 인한 실직자가 3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했다.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어졌다. 유동수 민주당 의원은 홈플러스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에게 “홈플러스 회생에는 30만 명의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다”며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면 정책금융 지원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결국 인수 의향자가 제시한 조건을 MBK가 얼마나 수용하느냐가 회생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IB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는 단순한 기업 매각이 아니라 유통·고용·농산물 공급망을 잇는 사회적 인프라의 문제”라며 “정부와 금융권의 지원 방향에 따라 회생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11월 말 본입찰까지 남은 한 달, 홈플러스의 운명이 갈림길에 서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