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UN 내세운 주민 없는 간담회… 석포·봉화·태백 주민들 “환경단체, 국민 기만 중단하라

UN 초청 간담회, 주민 항의로 무산… ‘조작된 행사’ 논란
공문 없이 카톡 요청, 주민 배제한 밀실 기획 비판
실제 주민 목소리 외면한 환경단체… 공투위, 공식 사과 요구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UN 관계자를 앞세워 ‘주민 간담회’를 열었다는 일부 환경단체의 주장에 대해 석포·봉화·태백 지역 주민들이 “주민 없는 가짜 행사”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UN을 이용한 조작 연출이자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해당 단체와 민변의 공식 사과를 촉구했다.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3일 성명을 내고 “환경단체가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위원장을 몰래 석포에 불러 ‘주민 간담회’를 열려다 주민 항의로 무산됐다”고 밝혔다.
공투위에 따르면 지난 1일, 환경단체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소속 변호사들은 피차몬 여판통 UN 위원장을 석포면으로 안내한 뒤 석포제련소 인근을 둘러보고 면사무소 회의실에서 간담회를 열려 했다. 하지만 소식을 뒤늦게 접한 주민 60여 명이 현장을 찾아 강하게 항의하면서 회의는 시작조차 하지 못한 채 무산됐다.

 

공투위는 간담회 하루 전인 10월 31일, 환경단체가 정식 공문 대신 카카오톡 메시지로 면사무소 회의실 사용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공식적인 주민 안내나 참여 요청도 없었다.
주민들은 “UN 위원장을 들러리로 세워 ‘주민 간담회가 있었다’는 허위 그림을 만들려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당시 현장에 있던 주민들은 제련소의 환경개선 현황과 입장을 담은 영문 의견서를 전달하려 했으나, 동행한 민변 소속 변호사들이 이를 막아 마찰이 빚어졌다. “실제 주민의 목소리를 차단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간담회가 무산된 직후, 환경단체는 급히 석포역으로 장소를 옮겨 자체 회의를 진행한 뒤 사진을 찍고, 마치 간담회가 성사된 것처럼 언론에 배포했다. 일부 언론은 이를 인용해 “UN 위원장이 주민 피해를 직접 들었다”고 보도했다.
공투위는 “주민이 단 한 명도 참여하지 않은 행사를 주민 간담회로 둔갑시킨 것은 국민을 기만한 행위”라며 “허위자료를 즉시 회수하고 주민들에게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공투위는 전달하지 못한 입장문을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공식 이메일을 통해 별도로 제출할 계획이다.


임광길 공투위 공동대표(석포면 현안대책위원장)는 “석포제련소는 폐수 무방류 시스템 등 환경개선을 위해 꾸준히 투자하고 있다”며 “환경단체는 주민의 생존권을 무시한 채 낙인찍기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UN도 일방적 주장에 의존하지 말고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확인해 달라”며 “지역의 생존과 환경문제가 함께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