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9℃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4.1℃
  • 박무대전 12.6℃
  • 맑음대구 14.0℃
  • 맑음울산 17.6℃
  • 맑음광주 15.7℃
  • 맑음부산 20.5℃
  • 맑음고창 15.3℃
  • 구름조금제주 20.4℃
  • 맑음강화 14.1℃
  • 맑음보은 10.7℃
  • 맑음금산 9.9℃
  • 맑음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15.8℃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단독] “삼성서울병원, 주차장 장사까지?”…환자·보호자 상대로 부당 요금 징수 논란

“일일 최대 3만 원”은 허울뿐…입출차 시 ‘무제한 요금’ 부과
환자 보호 현실 외면한 병원…주차로 돈 버는 삼성?
완비한 디지털 시스템도 안내는 ‘0점’…책임 회피 논란
피해자 속출 우려…“전수조사·제도 개선” 요구 확산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삼성서울병원(병원장 박승우)이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부당한 주차비를 징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입출차 기록이 모두 남는 디지털 시스템을 갖추고도 ‘입출차 기준 시간당 요금제’를 내세우며 보호자 현실을 외면한 채 요금 수익 중심의 운영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유사 사례가 지속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병원의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일일 최대 3만 원”?…입출차 반복하면 ‘5만 원 넘게’ 지불

 

11월 2일, 삼성서울병원을 찾은 보호자 A씨는 입원한 환자를 돌보기 위해 하루 동안 세 차례 주차장을 이용했다. 그러나 A씨가 지불한 총 주차 요금은 5만 8,000원. 공식 규정상 하루 최대 요금은 3만원임에도, 이를 초과한 금액이 부과된 것이다.

 

A씨는 “아침에 9,000원, 낮에 19,000원, 저녁에 30,000원 등 총 세 번 결제했다”며 “분명 ‘환자 보호자’임을 밝혔음에도, ‘입출차 시마다 요금이 별도 부과된다’는 답변만 돌아왔다”고 토로했다.

 

◇ 환자 보호자 배려 없는 ‘무제한 요금제’ 운영

 

삼성서울병원 주차관리실은 “입출차가 있으면 시간당 6,000원 요금을 각각 부과한다”며 “하루 최대 3만 원은 ‘입출차 없는 차량’에 한해 적용되는 규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해당 규정을 안내받지 못한 A씨는 “입원환자를 케어하는 보호자가 하루 종일 차를 ‘움직이지 않고’ 대기만 할 리가 없다는 현실을 병원이 외면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삼성병원이 주차로 돈을 벌 궁리만 하고 있는 건 아닌가”라며 불만을 드러냈다.

 

◇ “모바일 등록은 시켰지만 안내는 모르쇠”…‘책임 회피’ 태도 논란

 

A씨는 차량 번호를 모바일 앱으로 직접 등록하고 ‘오픈카드’까지 등록해 자동 결제 시스템을 이용했지만, 정작 주차비 면제 조건이나 요금 부과 방식 등의 안내는 전혀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주차관리 담당 팀장도 “모바일 등록자에게 일일이 안내할 방법이 없다”며 책임을 피했다.

 

이에 대해 A씨는 “문자 안내, 앱 내 공지 등 다양한 안내 수단이 있음에도 ‘어떻게 안내하랴’는 말로 위기를 모면하려 했다”며 오히려 “제가 안내 시스템까지 설계해야 하느냐”는 반문으로 불만을 표했다.

 

◇ “전수조사 시급”…삼성, 의료의 공공성 지킬 의지 있나

 

A씨는 “삼성이 ‘주차비 장사’를 한다는 소비자 인식이 퍼진다면 병원의 이미지는 물론, 의료 공공성에 대한 신뢰도 무너질 것”이라며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면 반드시 전수조사를 통해 시스템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다른 보호자들도 “입출차 시 요금 부과 규정에 대한 안내를 받지 못했다”거나 “전날과 요금이 달라 문의해도 제대로 된 설명을 들을 수 없었다”는 사례를 온라인을 통해 공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형 병원이 기본적인 안내 의무와 고객 배려 없이 수익 우선 사고를 고집한다면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자격을 의심받을 수 있다”며 “특히 첨단 IT 시스템을 자랑하던 삼성이, 정작 기본 설명 하나 제대로 하지 않는다면 이는 ‘디지털 시스템 뒤에 숨은 책임 방기’로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 최고의 의료진을 자부하는 삼성서울병원. 그러나 주차장에서 발생한 단순해 보이는 민원은, 적어도 ‘환자보다 수익을 우선시한다’는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고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된장으로 돈을 버는 주차장 시스템’이 아니라, 의료기관으로서의 기본적 도리와 사회적 책무다. 피해자 전수조사와 근본적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