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가 21일, 트럼프 정부의 2기 관세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제 대책 회의를 열고, 지역 산업 보호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주재한 이번 회의는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로 직·간접적인 대미수출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전라남도의 경제 상황을 진단하고 긴급 대책을 마련하는 자리였다.
회의에는 전라남도 내 경제 관련 기관들과 기업들이 대거 참여했다. 상공회의소, 한국은행, KOTRA, 전남연구원 등 다양한 기관들이 모인 가운데, 특히 포스코 광양제철소, 현대제철 순천공장, 광양알루미늄 등 철강업계의 대표자들이 참석해 실질적인 피해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철강업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관세 폭탄을 막기 위한 대책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고, 다양한 협력 방안도 제시됐다.
김영록 지사는 “우리는 IMF와 같은 위기 속에서도 발전해온 국민”이라며, “이번에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위기를 기회로 삼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를 통해 철강업체들이 겪고 있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하고, 정부의 지원을 요청할 계획을 밝혔다.
회의에서 특히 주목을 받은 부분은 대체 시장 발굴과 수출보험료 한도 상향이었다. KOTRA와 재외동포청은 새로운 수출 시장을 찾기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기업들의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출보험료 한도를 기업당 300만 원에서 500만 원으로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중국산 저가 수입철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되며, 무역 전반에 걸친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기업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요금 인하와 송배전 전력 계통 연계 문제도 주요 안건에 올랐다. 특히 전기료 인하가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으로 거론되었으며, 전력 공급의 안정성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졌다. 산업용 전기료 인하와 관련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촉구하며, 기업들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전라남도는 위기 상황 속에서도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지역 경제의 안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이번 비상경제 대책 회의를 통해 보여준 김영록 지사와 전라남도 관계자들의 결단은, 지역 산업을 보호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록 지사는 이번 회의를 통해 정부에 대한 적극적인 건의와 함께, 여수 석유화학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촉구했다. 전기요금 부담 경감뿐만 아니라, 산업위기 지역에 대한 선제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 산업의 생존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임을 밝혔다.
한편 전라남도는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산업 등 주요 산업 분야에 대한 대응책을 빠르게 마련하고, 기업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