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기후위기 비상' 국회-정부-광주시, 손잡고 영농형 태양광 확대 논의

- 농업과 재생에너지의 상생 모델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과 정책 지원 방향 모색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국회, 정부, 광주시의 협력이 한층 강화됐다. 21일, 광주광역시청 대회의실에서는 ‘기후위기 비상자문위원회 제4차 회의’가 열려 농업과 재생에너지 융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논의됐다.

 

‘기후위기 비상자문위원회’는 지난해 8월 우원식 국회의장 직속으로 출범한 기구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및 입법 지원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홍종호 위원장을 비롯한 자문위원 12명, 강기정 광주시장, 박해청 농림식품부 농촌탄소중립정책과장,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에너지공단 등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회의의 핵심 의제는 농업과 재생에너지의 융합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영농형 태양광’의 도입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과 농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방안이었다. ‘영농형 태양광’은 농업과 재생에너지가 상생할 수 있는 모델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 기구 구성을 촉구하고, 이를 조율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특히, 농촌 지역 주민들의 수용성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정책 설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이 형성되었으며, 농민들이 참여하고 지역사회와 경제적 이익을 나누는 재생에너지 사업 모델도 논의되었다. 자문위원들은 정부와 국회 차원에서 영농형 태양광 관련 법 개정과 제도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정호 자문위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 확대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농업과 에너지가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농민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가 내륙도시인 만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영농형 태양광이 꼭 필요하다”며, “정부 차원의 제도적 뒷받침과 국회 차원의 사회적 대화 기구 지원을 통해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영농형 태양광 확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를 통해 국회, 정부, 광주시가 협력하여 기후위기 대응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하며, 앞으로의 정책 변화와 제도 개선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