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국립목포대, 세계 최초 화합물반도체 MPW 서비스 공개…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

- 제주 ICC JEJU에서 열린 공정설명회, 윈 세미컨덕터와의 협력으로 차세대 기술 가능성 열어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국립목포대학교 화합물반도체센터(CSRC)는 최근 제주 ICC JEJU에서 세계 최초로 화합물반도체 MPW(Multi-Project Wafer) 서비스를 공개하는 역사적인 공정설명회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목포대학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는 대만의 윈 세미컨덕터(Win Semiconductors Corp.)의 아시아 총괄 디렉터와 실무진이 직접 참여해, MPW 서비스가 제공할 혁신적인 기술과 제조 공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MPW 서비스는 여러 기업과 연구기관이 하나의 웨이퍼에 각자의 회로를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실리콘 반도체에서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화합물반도체 분야에서 MPW 서비스는 국립목포대학교 화합물반도체센터가 세계 최초로 도입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서비스는 연구개발의 비용을 대폭 줄이고, 다양한 연구자들이 더 빠르고 쉽게 새로운 기술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자랑하지만, 화합물반도체 분야에서는 여전히 기술 격차가 크다. 2022년 기준, 화합물반도체 분야의 R&D 투자액은 약 5억 달러로, 미국(약 30억 달러), 대만(약 15억 달러), 일본(약 12억 달러)과 비교할 때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2023년 기준, 글로벌 화합물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3~5%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국립목포대와 윈 세미의 협력은 한국의 화합물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설명회에는 국내 유명 대학 교수들도 참석하여, MPW 서비스가 국내 연구 및 산업 응용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쳤다. A교수는 "화합물반도체 MPW 서비스는 연구개발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자들이 새로운 기술에 도전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과 연구자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화합물반도체 MPW 서비스는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지역 경제와 국가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예고한다. 전라남도는 화합물반도체센터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으며, 지역 반도체 산업의 육성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전라남도의 이러한 지원은 경제적 투자를 넘어, 지역사회와 산업계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화합물반도체 분야의 국가 경쟁력 위기를 극복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

 

국립목포대학교 화합물반도체센터의 MPW 서비스는 이제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밝힐 중요한 기로에 서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입지를 한층 더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