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미국 6월 CPI 반등…관세 여파 본격화 조짐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지만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최근 부과된 관세의 영향이 물가에 본격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5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6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일치하지만, 5월(2.4%)보다 높은 수치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3%로, 올해 1월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식료품과 에너지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9% 상승하며 예측치에 부합했다. 다만 전월 대비 상승률은 0.23%로, 시장 예상치보다 낮았다.

 

가구, 장난감, 의류 등 관세 영향을 많이 받는 품목들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오른 반면, 자동차 가격은 하락했다. 인플레이션인사이트의 오마이르 샤리프 대표는 “자동차를 제외한 근원 상품 가격이 0.55% 오르며 2021년 11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며 “관세가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웰스파고의 사라 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지만 서비스 전반으로 확산되지는 않았다”고 분석했다.

 

근원 CPI가 예상보다 낮은 점을 근거로,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에 금리 인하 압박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는 이미 제롬 파월 의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해 왔으며, 이날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차기 연준 의장 지명을 위한 절차가 시작됐다”며 파월이 이사직에서도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 연준 위원들이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내부적으로는 관세 영향이 일시적인지 여부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당분간 금리 동결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관세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치 않다. 많은 기업들이 관세 시행 전 재고를 확보해 가격 인상을 늦추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 관세 시행 시점을 8월 1일로 미루면서 일부 품목의 가격 반영이 지연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로 인한 추가 비용의 70%를 부담할 것으로 추정했다. 프린시펄애셋매니지먼트의 세마 샤 수석 전략가는 “물가 상승은 일시적일 수 있지만 관세가 확대되는 만큼 연준은 당분간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한국, 일본, 멕시코, 유럽연합(EU) 등을 겨냥해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러시아에는 평화협정 미체결 시 100% 추가 관세를 경고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오스탄 굴즈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관세 위협이 지속되면서 물가 흐름 예측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며 “이러한 불확실성은 시장을 혼란스럽게 만든다”고 우려했다.

 

미국 경제는 표면상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6월 신규 일자리는 14만7000개로 예상을 웃돌았지만, 대부분 정부 부문에 집중됐고 민간 고용은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같은 날 발표된 실질 평균 임금 상승률은 전년 대비 1% 하락해 연초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