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7월 중순, 쉴 새 없이 쏟아진 집중호우는 나주시 곳곳을 집어삼켰다. 무너진 도로, 끊긴 하천, 물에 잠긴 상가와 주택들.
그 닷새 동안 접수된 피해 신고만 1만여 건에 달한다. 총 피해액은 약 151억 원. 수마가 스치고 간 자리는 회색 잿더미처럼 침묵했지만, 현장은 곧바로 복구를 위한 움직임으로 분주해졌다.
그 움직임에 큰 힘을 실어줄 조치가 8월 6일 내려졌다. 정부는 나주시 전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이에 따라 국비 지원이 확대되고 지방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국민건강보험료 경감, 전기요금 감면, 농지보전부담금 면제 등 직접 체감 가능한 13개 항목의 간접 지원도 뒤따른다.
이로써 나주시는 그동안 속도 내기 어려웠던 각종 복구사업에 본격적으로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공공시설 복구비에 대한 국고 보조율이 올라가면서 시 재정 부담이 완화됐고, 행정 절차도 간소화될 전망이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극한의 호우 속에 고통받은 시민들에게 다시 한 번 위로를 전한다”며 “조속한 복구와 일상 회복을 위해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1만여 건의 피해신고를 밤낮없이 처리해온 읍면동과 재난관리부서 직원들의 노고에도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나주시는 집중호우 직후부터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해 왔다. 그 결과 이번 지정으로 국비 확보와 복구계획 수립 등 후속 조치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앞으로도 예산 확보, 복구사업 추진에 행정의 전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피해는 컸지만, 회복의 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지원과 지자체의 대응이 맞물리며 나주시는 일상 회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