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한국과 일본이 약속한 대미 투자금을 기반으로 ‘국가경제안보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양국이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약속한 자금이 미국 제조업과 인프라 재건에 투입되는 셈이다.

러트닉 장관은 26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우리가 만드는 것은 국부펀드가 아니라 국가경제안보펀드”라며 “일본, 한국 등 여러 나라가 미국 인프라 확충을 위해 제공하는 자금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세 수입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을 통해 끌어낸 투자 약속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에 맞먹는 기금 설립을 검토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실제로는 무역 협정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펀드를 운용하는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행정부가 인텔 지분 10%를 확보하고, 록히드마틴 등 주요 방산업체 지분 취득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한국과 일본은 각각 3500억달러, 5500억달러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고, 그 대가로 미국은 양국의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인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투자펀드는 미국 정부가 운용하며, 구체적인 투자처는 대통령인 내가 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러트닉 발언 직후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재무부가 기업 지분을 다수 보유하게 되면 공식적인 국부펀드가 아니더라도 사실상 국부펀드처럼 보일 수 있다”고 언급해 논란을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