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안평환 광주시의원 “AI 중심도시 2단계 성공, 인재 정착과 사후관리 필수”

- 광주 AI 인재 7,859명 배출…지역 정착률 5%도 안 돼
- 인재 DB 플랫폼 구축·사후관리 전담조직 신설 제안
- “교육만으로는 부족…사람 중심 AI 생태계 전환해야”

 

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시의회 안평환 행정자치위원장(북구1, 더불어민주당)은 28일 제336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AI 중심도시 2단계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인재육성 사후관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안 위원장은 “광주가 AI 중심도시 2단계 사업에서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라는 성과를 거둔 것은 의미 있는 전환점”이라며, “이제는 단순히 양적 성과가 아니라 사람 중심의 AI 생태계 구축에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시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진행된 AI 중심도시 1단계 사업을 통해 총 7,859명의 인재가 배출됐다. 그러나 이 가운데 지역 내 취업자는 377명에 불과해 정착률은 5%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타 시도 취업자는 449명으로 집계됐지만, 7,000명이 넘는 수료생의 현황은 파악조차 되지 않는 실정이다.

 

안 위원장은 “교육으로 인재를 길러내고도 정작 지역에 머무를 양질의 일자리와 창업 인프라가 부족하다”며, “광주는 인재 공급도시는 되었지만 인재 정착도시로는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해법으로 ▲AI 인재 사후관리 전담조직 신설 ▲경로 추적조사 제도화 ▲AI 인재 DB 플랫폼 구축 등을 제안했다.

 

특히 수료생을 대상으로 1~3년 단위 추적조사를 실시해 취업·창업·이탈 현황을 파악하고, 산업 수요와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인턴십, 취업·창업 매칭, 정착 인센티브 확대 등 체계적인 커리어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안 위원장은 “최근 5년간 광주에서 순유출된 인구가 3만8천 명을 넘었고, 절반 이상이 40세 이하 청년층”이라며 “지역 성장동력 유출을 막기 위해 인재 사후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AI 중심도시는 하드웨어 구축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며, “양성된 인재가 지역에서 뿌리내리고 산업과 기업을 키워낼 때 비로소 광주가 AI 혁신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