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삼성·SK, 美 ‘중국 공장 장비 반입’ 허가제 전환에 직격탄

美 상무부 관보 통해 공식 발표
2022년부터 적용된 규제 예외 철회
中 공장은 중요한 범용 메모리 생산기지
HBM 차질 없지만 작지 않은 타격 우려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사업에서 중대한 변곡점을 맞게 됐다.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양사 중국법인에 부여했던 ‘VEU(Validated End User·신뢰기업)’ 지위를 철회하면서다.

 

 

VEU는 미국산 반도체 제조 장비를 중국 내 공장으로 들여올 때 별도의 개별 허가 절차를 면제받는 제도다. 그러나 이번 철회로 삼성과 SK는 앞으로 중국 현지 생산라인에 장비를 반입할 때마다 미국 정부로부터 일일이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사실상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규제에 정면으로 편입된 셈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긴급 입장을 내고 “VEU 지위 철회가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가 공식화되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 내 생산 활동이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업계 전반에서 제기되고 있다.

 

다만 미국은 이번 제재 적용 기업에 대해 120일의 유예기간을 뒀다. 그 사이 삼성과 SK, 한국 정부가 어떤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가 향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안정과 직결되는 관건으로 떠올랐다.

 

정부 관계자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원활한 중국 사업장 운영은 글로벌 공급망 안정에도 중요하다는 점을 미국에 꾸준히 강조해 왔다”고 전했다. 하지만 미국의 강경한 대중 견제 기조가 지속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의 중국 내 투자와 운영 전략은 근본적인 재검토가 불가피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