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중국 알리바바가 인공지능(AI) 서비스에 특화된 자체 반도체 개발에 나섰다. 미·중 갈등 속에 중국의 반도체 자립 가속화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는 알리바바가 AI 추론(인퍼런스) 단계에 특화된 반도체를 설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칩은 대규모 데이터 학습보다는 실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초점을 맞췄다. 출시 일정은 미정이며, 알리바바는 칩을 외부 판매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비스 임대 방식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알리바바는 반도체 설계 조직 T-헤드를 운영하며 2019년 추론용 칩 ‘한광800’을 내놓은 바 있다. 회사는 향후 3년간 3800억위안(약 74조원)을 AI 인프라에 투자하겠다고 밝혔으며, 올해 2분기 클라우드 매출은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AI 관련 매출은 8개 분기 연속 세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와 기업들은 미국의 수출 규제 강화 속에 자국산 반도체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앞서 미국은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칩 판매를 차단했으며, 중국 정부는 보안 문제를 이유로 엔비디아 H20 사용 자제를 지시했다. 이에 따라 알리바바·바이두·화웨이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자체 칩 개발에 뛰어들었고, 캄브리콘테크놀로지스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4000% 급증하는 성과를 거뒀다.
한편 이날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3% 넘게 하락했으며, 알리바바는 신형 칩 개발 소식과 호실적 발표에 힘입어 중국 증시에서 주가가 12% 급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