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2026년 정부예산안’에서 지역사업 국비 3조6616억원을 확보하며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이는 전년도 예산보다 10.1% 늘어난 수치로, 국회 최종 확정액을 넘어서는 금액이어서 광주시의 적극적인 예산 확보 노력과 AI·문화·SOC 분야 전략이 결실을 맺었음을 보여준다.
이번 예산 확보로 광주는 AI 2단계 사업과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등 미래 전략산업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지난 6월 타운홀 미팅에서 건의한 AI 2단계 사업과 국가시범도시 기본구상 용역이 반영되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 확보가 가능해졌고, 자동차 부품 순환경제 인프라 구축, EV 배터리 실증 기반 구축 등 첨단 산업 지원도 함께 진행된다.
문화 분야에서도 국립현대미술관 광주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광주관, 국회도서관 분관 건립 관련 예산이 반영돼 3대 국가 문화시설 조성 기반이 마련됐다.
광주 인문학 산책길, 비엔날레전시관, 아시아 캐릭터랜드, 첨단실감 문화콘텐츠 테마파크, 양림권역 근대역사문화 거점벨트 등 다채로운 문화사업 예산도 확보돼 광주가 문화 중심도시로 한층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사회기반시설(SOC) 예산도 크게 늘었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사업비는 전년 대비 267억원 증가한 1665억원으로 반영됐고, 호남고속도로 동광주~광산IC 확장사업 238억원, 광주~강진 고속도로 건설 668억원, 경전선 광주송정~순천 전철화 1672억원 등이 포함돼 교통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복지와 안전, 환경 분야에서도 국립 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운영, 국립 광주청소년디딤센터 건립,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경로당 냉난방비·양곡비 지원, 다함께 돌봄센터 지원, 노후 상수도 정비, 광주 운전면허시험장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이 포함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는 정부예산안 국비 확보에 안주하지 않고 9월부터 국회 대응체제로 전환해 추가 증액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회 보고회를 통해 전략을 점검하고, 지역 국회의원과 정당 지도부, 예결위원 등을 대상으로 국비 확보 당위성을 적극 설득할 방침이다.
수직 이·착륙기 실증시험 지원센터, 군부대 이전, 민주역사공원 조성 등 주요 사업이 추가 증액 대상에 포함되며, 광주~대구 달빛철도 건설은 6개 시·도가 협력해 예타 면제 등 국비 확보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강기정 시장은 “지난해보다 많은 국비 확보와 AI·모빌리티·문화 등 지역 미래 먹거리와 현안사업이 정부예산안에 포함되는 성과를 거뒀다”며 “국회 의결까지 최대한 국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