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호남名所] ‘한켠 전주’, 디지털 시대 지방 활성화 돕다

빈집 재생으로 태어난 ‘한켠 전주’
전북 14개 시·군 관광거점 허브의 기대

지이코노미 서주원 기자 | 2008년 1월 14일 문을 연 ‘지산아카데미 고시원·독서실(이하 지산아카데미)’은 전북 청년들에겐 ‘희망의 거점’이었다. 당시 서울 신림동과 노량진의 고시원에는 월 120만~150만 원에 달하는 생활비를 감당하지 못한 학생들이 많았다. 이들을 위해 건축가 백승기 박사는 ‘월 30만 원이면 먹고 자고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을 전주에 만들었다.

 

지산아카데미는 지난 17년 동안 1천여 명의 공무원과 수많은 자격증 합격자를 배출하며, 전북 청년들의 꿈을 키워온 공간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빈 공간의 재탄생, ‘한켠 전주’

 

2025년, 지산아카데미 건물은 ‘한켠 전주’라는 새로운 이름과 기능을 얻었다. ‘한켠’은 ‘마음 한켠 쉴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품었다. 과거의 공부방이 디지털 세대를 위한 워케이션과 게스트하우스, 그리고 문화 교류의 허브로 다시 태어났다.

2층엔 워케이션 라운지, 영상 작업실, 회의실, 무비클럽이 꾸며졌다. 5층은 크리에이터용 동영상 스튜디오와 워케이션 공간이다. 3·4층엔 단기·중기 체류형 레지던스가, 6층엔 외국인 전용 게스트하우스와 공유주방 ‘안부(安富)’가 들어섰다. 옥상은 루프탑 문화행사, 공연, 교류의 공간이다.

각 층은 각기 다른 콘셉트를 지녔다. 룸마다 스토리를 담아 이용자들에게 맞춤형 경험을 제공한다.

 

 

지방 활성화와 농촌관광의 연결

 

‘한켠 전주’는 일반적인 건물 리뉴얼이 아니다. 시험 준비생의 공부방이 디지털 노마드와 글로벌 관광객의 창작 거점으로 바뀌었다. 빈집·빈 공간 재구성이 지방소멸 대응의 실질적 모델임을 보여준다.

전주는 전북의 교통과 문화 중심지다. 전주 한옥마을과 전주역 사이에 자리한 그 입지는, ‘한켠 전주’가 전북 14개 시·군을 잇는 관광거점 허브로 기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전주에서 머무는 디지털 노마드와 관광객이 이곳을 베이스캠프로 삼아 고창의 풍천장어, 남원의 광한루, 무주의 산악 레포츠, 장수의 힐링 농촌체험, 군산의 근대문화 유산 등으로 확산된다면, 전북 전역은 지역거점 연결형 관광 루트로 살아나게 된다.

이는 도시와 농촌을 하나로 잇는 순환형 관광 모델로,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다.

 

 

글로벌 관광객 1억 명 시대, 스토리 있는 콘텐츠 필요

 

한국은 글로벌 관광객 1억 명 시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숙박시설 확충이나 인프라 확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관광객은 콘셉트와 스토리가 탄탄한 콘텐츠에 매력을 느끼기 때문이다.

‘한켠 전주’는 그 답을 제시한다. 17년 공부방의 역사라는 서사, 디지털 노마드 허브라는 콘셉트, 전북 14개 시·군을 잇는 확산형 농촌관광 모델이라는 확장성이라는 세 가지 콘셉트가 융합되었다. 이렇듯 ‘한켠 전주’는 단순한 숙소가 아니라 전북형 글로벌 관광 콘텐츠로 도약할 가능성이 높다.

 

 

세대를 잇는 협업, 지역재생의 동력

 

이번 공간 재구성은 세대를 잇는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지산아카데미 설립자인 백승기 박사는 도시공학 전문가다. 반평생을 보듬고 살아 온 도시재생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도를 짰다. 백 박사의 둘째 딸 백예진 공간디렉터(경희대 국제대학원 마케팅 전공)는 글로벌 트렌드와 젊은 감각으로 ‘한켠 전주’ 탄생의 산파역을 했다. 두 세대가 합작한 ‘한켠 전주’는 과거와 미래,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를 잇는 상징적 공간으로 완성됐다.

 

백 박사는 ‘한켠 전주’를 시작으로, ‘한켠 ○○시’, ‘한켠 ○○군’ 등으로 프랜차이즈를 확장한다는 입장이다. 빈집과 유휴공간을 재구성해 각 지역 특색에 맞는 관광·창작거점으로 발전시킨다는 구상도 갖고 있다. 이는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지방소멸 시대의 지역재생 전략이며, 글로벌 관광객 1억 명 시대를 준비하는 대한민국형 관광 모델이라는 것.

 

 

마음 한켠에 남는 공간을 만든다

 

2008년 문을 연 지산아카데미는 전북 청년들에게 청운의 꿈을 심었다. 2025년 문을 연 ‘한켠 전주’는 디지털 세대와 글로벌 여행자의 가슴에 꿈과 희망의 씨앗을 뿌렸다.

 

 

‘한켠 전주’는 전북 14개 시·군을 연결하는 관광거점 허브로 성장하려는 힘찬 발걸음을 막 뗐다. 대한민국이 글로벌 관광객 1억 명 시대를 맞이하는 여정 속에서 스토리 있는 지역재생 콘텐츠의 대표 모델을 우뚝 서겠다는 포부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