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가 전산망 ‘심장’의 허술한 현실… 전화국 개조 건물에 갇힌 국정자원

2005년 전화국 건물 개조해 출범…IDC 기본 요건 못 갖춰
서버·배터리 불과 60cm 간격, 화재 진압 난항 불러
광주·대구 분원은 분리 구조…대전 본원만 위험 방치
항온항습기 고장으로 피해 확산…“태생적 한계 드러났다”

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국가 전산 시스템을 관리하는 정부 전용 데이터센터, 국정자원(옛 정부통합전산센터)의 구조적 취약성이 이번 화재를 키웠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출신 최운호 서강대 교수는 29일 “국정자원은 설립 당시부터 IDC(인터넷데이터센터)의 기본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며 “전화국을 개조한 건물에서 서버와 배터리를 좁은 공간에 함께 둔 것이 근본적 원인”이라고 말했다.

 

실제 대전 본원 전산실에는 96개 정부기관의 서버가 1.2m 간격으로 도서관 책장처럼 빼곡히 들어서 있었다. 국제 기준을 겨우 맞춘 수준이었고, 서버와 폭발 위험이 큰 리튬이온 배터리 간 거리는 불과 60cm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화재 당시 소방 진압이 쉽지 않았다. 김기선 대전유성소방서장은 “배터리와 서버 간격이 좁아 소방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고 밝혔다.

 

IDC 업계의 기본 원칙은 배터리와 전력 장치를 별도 공간에 분리하는 것이다. 2022년 ‘카카오톡 먹통’ 사태 이후 과기정통부는 이를 의무화했다. 국정자원 광주·대구 분원도 이러한 구조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대전 본원은 2024년에 들어서야 배터리 분리 작업을 시작했으며, 그 사이 사고가 터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년간 위험을 방치한 셈”이라고 꼬집었다.

 

화재 직후 항온항습기 고장으로 온도·습도 조절이 불가능해지면서 피해가 확산된 점도 논란이다. 국정자원은 화재가 번질 것을 우려해 선제적으로 서버 전원을 껐지만, 이로 인해 647개 정부 시스템이 중단됐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특정 공간 화재로 전체 공조 기능이 마비된다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며 “2005년 전화국을 개조해 만든 시설의 한계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데이터센터는 서버 하중을 견디는 바닥, 안정적인 전력·공조 시스템, 재난 대비 소방 체계가 유기적으로 설계돼야 한다”며 “전화국 건물을 개조한 대전 본원은 태생적으로 이런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