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5.3℃
  • 맑음강릉 16.7℃
  • 구름조금서울 16.7℃
  • 구름조금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8.2℃
  • 맑음울산 16.3℃
  • 구름많음광주 18.9℃
  • 구름많음부산 18.7℃
  • 구름조금고창 17.3℃
  • 구름조금제주 19.7℃
  • 구름조금강화 14.4℃
  • 구름조금보은 16.7℃
  • 구름조금금산 15.6℃
  • 구름많음강진군 18.7℃
  • 맑음경주시 16.8℃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왜 1단지만 전신주 아래 살아야 하나”…죽림 지중화 ‘반쪽 공사’ 논란, 책임 떠넘기기 도마 위

- 죽림2단지 15년 전 지중화 완료 1단지만 ‘전신주 숲’ 여전
- 관할 아니다 책임 떠넘기기 사이 주민 불편만 커져
- 김화신 도의원, 관계 기관 협력 통한 조속한 해결 촉구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여수 소라면 죽림2단지는 15년 전 지중화가 완료된 반면, 죽림1단지는 현재 지중화 공사가 진행 중임에도 일부 구간에 여전히 전신주와 전선이 남아 주민 불편과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같은 생활권인데 왜 1단지 주민만 전신주 아래 살아야 하느냐”는 불만이 커지는 모습이다.

 

전라남도의회 김화신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5일 전남개발공사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해당 문제를 지적하며 “주민 생활과 안전이 걸린 문제를 두고 기관이 서로 관할만 따지는 동안, 정작 피해는 주민에게 돌아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죽림2단지는 이미 15년 전 지중화 공사가 마무리돼 정돈된 주거환경을 갖췄다. 그러나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둔 죽림1단지는 지중화 공사 중임에도 상가 밀집지, 통학로 주변 등 생활 핵심 구간 일부가 ‘사업 구역 외’라는 이유로 공사에서 제외되면서 전신주와 전선이 그대로 남아 있다. 주민들은 이를 두고 “반쪽짜리 지중화”라고 지적한다.

 

특히 시야 확보가 어려운 구간에서는 보행 안전 우려가 제기되고, 태풍·강풍 시 전선 흔들림으로 불안하다는 민원도 이어진다.

 

한 주민은 “2단지는 15년 전에 끝난 일을 우리는 아직도 덜 끝낸 채 살고 있다”며 “정작 필요한 구간은 김빼듯 빼놓고 하는 지중화가 무슨 의미냐”고 성토했다.

 

문제의 배경에는 전남개발공사–여수시–한전–LH 간의 관할 책임 미루기가 자리한다.

 

전남개발공사는 “해당 구간은 개발사업지 외부로 여수시 소관”이라고 선을 긋고, 여수시는 “초기 개발 계획에 반영되지 않아 예산 근거가 불명확하다”고 맞섰다. 여기에 지중화 주체인 한전과 단지 조성에 참여한 LH까지 얽히며, “누가 먼저 나서야 하느냐”는 논쟁만 반복돼 왔다.

 

이 과정에서 기관 간 협의체조차 구성되지 않았다는 점은 행정의 빈틈을 드러낸다는 지적이 나온다.

 

장충모 전남개발공사 사장은 “준공 시점에서 논의가 나와 사업비 반영이 어려웠다”며 “늦었지만 한전·여수시·LH와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사실상 그간 후속 조치가 미흡했음을 인정한 셈이다.

 

김화신 의원은 “지중화는 미관의 문제가 아니라 생활 인프라의 형평성 문제”라며 “각 기관은 ‘관할 아니다’만 외칠 게 아니라, 역할 분담과 단계별 추진 일정, 예산 분담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도의회 안팎에서는 “이번 감사 지적 이후에도 개선 움직임이 없다면, 감사원 감사나 중앙 차원의 점검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번 사안이 단순 민원을 넘어 여수 지역 간 생활환경 격차, 행정 책임성, 공공기관의 주민 응대 태도를 드러내는 사례라는 평가다.

 

주민들은 “이제는 ‘검토하겠다’가 아니라, 어느 기관이 어떤 구간을 언제 맡아 해결할지 명확한 실행 계획이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