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여수시의회는 지역 교육의 방향을 놓고 현장 목소리를 직접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시의회는 지난 6일 여수시청 3층 회의실에서 ‘함께 만드는 여수교육, 현장에서 답을 듣다’를 슬로건으로 ‘여수시 지역교육 협력강화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는 백인숙 의장, 문갑태 부의장, 박성미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여수학원연합회가 참여했으며, 시민과 교육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지역 교육 과제와 대안을 논의했다. 좌장은 문갑태 부의장이 맡았고, 박성미 의원의 기조발언으로 본격적인 논의가 이어졌다.
주제토론에는 여수시 평생교육과, 전남대학교 신임수 교수, 여수학원연합회 박정영 회장, 박성미 의원이 참여했다. 토론의 흐름은 ▲교육예산 편성 단계부터 민‧관 협의 구조 마련 ▲민간교육의 공교육 보완 역할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등 현장 기반 정책이 핵심으로 자리했다.
신임수 교수는 ‘2024년 여수시 교육경비 보조사업 성과 분석 및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하며, 성과조사 방식 개선 필요성을 짚었다.
방학 기간 용역 조사 방식으로 이뤄지다 보니 참여율이 낮고 결과 왜곡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조사 시기 조정 ▲온라인 조사 병행 ▲학교 간 편중 완화 방안 등을 제안했다. 행정·학교 회계체계와 일정 차이, 교사 중심 운영, 교육청 기준 인건비로 인한 사업 제약도 개선 과제로 꼽았다.
여수학원연합회 박정영 회장은 “학생들의 외부 유출이 계속되고 있다”며 교육 신뢰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회장은 교육청·학부모·민간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실행력 있는 정책이 나온다”고 했다.
박성미 의원은 공공과 민간이 경쟁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공–민간 협력 체계 정립 ▲사교육의 공익적 참여 확대 ▲학교 밖·다문화 학생 지원 강화 등 세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교육 접근성 보완,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민간 참여 확대, 여수형 교육도시 브랜드 확립 등을 함께 추진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는 시민과 학원 관계자들의 의견이 활발히 나왔다. ▲여수 교육 이미지 제고 ▲사교육 실태 분석 및 공교육 연계 전략 ▲민·관 상설 협의체 구성 ▲성과 환류 체계 강화 등 현장에서 체감되는 제안들이 쏟아졌다.
문갑태 부의장은 “교육경비 보조금 심의위원회 참여 폭을 넓혀 민간 전문가 참여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며, “AI·로봇·창의교육 등 공교육이 혼자 감당하기 어려운 분야는 민간과의 협력으로 채워야 하며, 이를 위한 조례 정비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백인숙 의장은 “이번 토론회는 교육정책을 행정의 과제가 아니라, 시민과 현장이 함께 풀어갈 공동 과제로 바라본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제안된 내용들을 정책 설계에 반영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