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6.0℃
  • 구름많음강릉 11.5℃
  • 흐림서울 7.9℃
  • 대전 9.7℃
  • 구름조금대구 12.1℃
  • 맑음울산 12.5℃
  • 광주 8.9℃
  • 구름조금부산 12.6℃
  • 흐림고창 8.1℃
  • 제주 12.2℃
  • 구름많음강화 6.6℃
  • 구름많음보은 8.6℃
  • 흐림금산 8.9℃
  • 구름많음강진군 11.9℃
  • 구름조금경주시 12.3℃
  • 맑음거제 13.2℃
기상청 제공

여수시 김화신 도의원,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성공… 안전한 여수공항이 첫 출발점”

- 활주로 연장·안전구역 확보·국제선 부정기편 대비 필요성 강조
- 김 의원“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 반영 위해 전남도, 정부 설득 전략 가동해야”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의회 김화신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이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수송 기반 확보 문제를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지난 20일 열린 기획조정실 소관 2026년도 본예산 심사 자리에서다. 25일 현재까지도 이 사안을 꾸준히 점검하며, 지역 현안의 중심에 다시 올려놓고 있다.

 

김 의원은 여수공항의 현 구조적 한계를 먼저 짚었다. 활주로가 2,100m에 그쳐 B737급 중형 항공기 운항에 제약이 크며, 활주로 말단부가 해안 절벽을 향해 떨어지는 특성 때문에 오버런(과주) 사고 발생 시 인명 피해 가능성이 높은 공항으로 분류돼 왔다.

 

공항시설법상 기준에 비춰도 안전구역 확보 필요성이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지만, 아직 국가계획에 반영되지 못한 상황이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는 섬 자원을 주제로 한 세계적 규모의 행사다. 전남도와 조직위원회는 350만~4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전망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가 항공편을 이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여수공항은 소형·중형 기종 중심의 제한적 운항에 머물러 있어, 박람회 기간 수송량을 감당하기에는 구조적 한계가 뚜렷하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그는 “국제선 부정기편을 띄울 수 있는 활주로 조건부터 갖춰야 한다”며, 박람회 성공을 위한 수송 기반 확충이 단순 행정 논의를 넘어 ‘국가가 책임져야 할 인프라 구축’ 수준으로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공항 문제를 지역만의 요구로 둘 것이 아니라,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이라는 국가 로드맵에 반영시키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못 박았다.

 

여기에 올라가야 국토부의 타당성 검토, 사전 설계, 예산 확보 등이 순차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어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국토부와의 협의 일정을 주도적으로 가져가야 한다”며, 전남도 차원의 전략적 대응 필요성을 언급했다.

 

특히 지역 국회의원과의 공조, 도지사 공약 이행 체계, 중앙부처 대상 설명과 자료 제출, 공항 이용 실적 분석 등 다각적 설득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기획조정실이 주도적으로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다. “공항 문제는 단일 부서만으로 풀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기획조정실이 중심을 잡고 부지 확보, 예산 검토, 중앙정부 대응, 국회 협력까지 한 축에 모아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윤진호 기획조정실장은 본예산 심사 당시 활주로 연장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관련 부서와 협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25일 현재에도 이 사안을 지속 점검하고 있으며, 여수공항 확충이 단순 SOC 종합사업이 아니라 전남 동부권 전체의 성장 잠재력을 좌우하는 관문사업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면서 “공항 확충은 도민 안전과 지역의 항공 접근성을 높이는 기초가 되는 일”이라며, “박람회 이후에도 국제 관광도시로 가려면 여수공항의 기능과 규모가 지금보다 더 넓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여수·순천·광양을 잇는 동부권 경제권 확장, 산업단지 투자 유치, 항공 물류 확대 등 여러 분야에서 활주로 연장이 갖는 효과가 커질 것이라는 점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