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나주시는 9월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핵융합 연구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 국가와 학계의 핵심 기관을 방문하며 연구 동향과 정책 방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이번 일정은 국정과제 27 ‘글로벌 TOP 수준 국가연구소 선정·육성’과 연계된 대형 연구인프라 확충 계획에 따라, 나주시가 향후 대응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방문단은 과기부를 찾아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기획용역 추진 상황과 9월 중 열릴 국가핵융합위원회 주요 안건을 확인했다. 이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STAR)과 한국가속기·플라즈마연구협회(KAPRA),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를 차례로 방문하며 연구 성과, 국제 협력 현황, 인재 양성 현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특히, K-STAR 방문에서는 핵융합 실험과 연구 성과, 국제 공동 연구 동향을 확인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핵융합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뿐 아니라 인력 양성과 정책 지원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며, 나주시가 연구 인프라 구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학계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또한, KAPRA에서는 핵융합·가속기 연구 관련 정책과 기술 협력 현황을 공유하며, 대형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무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줬다.
한편,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방문에서는 연구 인재 양성과 산학 협력 현황을 점검했다. 연구진은 핵융합 분야 전문 인력 배출과 연구 기반 확충의 중요성을 논의하며, 나주시가 지역 대학과 연계한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구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마지막으로, 전라남도와 나주시를 방문해 핵융합 연구 부지 공모 일정과 지역 협력 방안을 점검했다. 나주시는 부지 제공과 연구환경 개선, 지역 주민 참여 방안 등 세부 계획을 마련하며, 핵융합 연구단지 조성을 위한 기반을 착실히 다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인재 양성, 연구 시설 접근성 확보 등 다양한 요소가 논의됐다.
나주시 관계자는 “핵융합 연구 인프라는 단순한 연구 시설이 아닌, 지역 산업과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에도 직결되는 핵심 기반”이라며, 따라서 국가, 학계,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해 나주를 핵융합 연구 메카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5일간의 현장 점검을 통해 나주시는 정책 제안, 예산 확보, 연구 협력 확대, 홍보 전략 수립 등 구체적인 대응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나주시는 국내외 핵융합 연구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동시에 지역 경제와 산업 발전까지 함께 도모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나주시의 이번 행보가 단순한 연구 인프라 유치에 그치지 않고, 아울러 지역 균형 발전과 미래 에너지 산업 기반 마련에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나주시는 앞으로도 관련 기관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핵융합 연구단지 조성뿐 아니라 지역 혁신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