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 해상풍력이 본격적인 상승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2025 전남 풍력의 밤’에서 제시된 전략은 보고를 넘어 산업 전반의 흐름을 다시 그리는 설계도에 가까웠다.
행사장에는 전남 풍력산업을 이끌어온 인물들이 대거 모여 산업의 현재와 향후 방향을 입체적으로 짚어냈다. 신안비치호텔의 포럼장은 정책·기술·인프라·공급망 전문가들의 발표가 이어지며 마치 하나의 긴 산업 콘퍼런스를 방불케 했다.
무엇보다도 올해가 전남 해상풍력의 ‘도약의 원년’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배경에는 굵직한 제도 변화가 자리한다. 3월 제정된 ‘해상풍력 특별법’과 ‘국가기간 전력망 특별법’은 난맥상처럼 얽혀 있던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간소화해 기업과 지자체 모두가 속도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열어주었다.
여기에 아·태 최대 규모로 지정된 신안 3.2GW 집적화단지의 위상은 전남을 해상풍력의 실질적인 거점으로 끌어올리는 힘이 되고 있다. 이미 상업운전에 들어간 전남해상풍력 1단지(96MW)와 영광 약수단지의 사례는 전남이 ‘가능성의 단계’를 넘어 ‘실질적 성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이다.
에너지 전환 흐름은 디지털 산업과도 맞물린다. 오픈AI–SK의 데이터센터 구축 논의, 삼성SDS의 국가 AI 컴퓨팅센터 후보지 선정은 전남이 AI·에너지 융합의 새로운 축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시사한다.
해상풍력 전용 설치항만 투자협약 체결까지 더해지면서, 지역 산업 생태계는 ‘바람·전력·데이터’가 교차하는 대규모 전환 흐름을 만들고 있다.
이날 종합 보고회에서는 전문가위원회가 지난 1년 동안 분석해온 전 주기 전략이 구체적으로 소개됐다.
공급망 분과는 글로벌 재편 흐름 속 기자재 기업이 전남에 투자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정비하는 방안을 강조했다. 생산기지 유치에 그치는 방식이 아니라, 연구·제조·서비스가 한 체계 안에서 맞물려 움직이는 ‘전남형 공급망’ 구축이 관건이라는 진단이다.
인프라 분과 발표는 현장의 시급성을 날것 그대로 드러냈다. 해상풍력 7.9GW가 2030년까지 착공될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J/Barge, SOV 같은 필수 작업선박과 배후항만, O&M 기지가 제때 마련되지 않으면 공정 전체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다.
발표자들은 “해상풍력은 바람만 좋다고 되는 산업이 아니라, 항만·선박·정비기지가 동시에 움직여야 완성되는 종합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기술포럼 분과는 올해 진행된 3차례 기술포럼에서 다뤄진 핵심 기술 이슈를 다시 정리하며 2025년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사업개발·인허가·공급망·인프라·모니터링 등 전 주기 기술 요소를 총망라한 정리는 “전남 해상풍력의 데이터베이스가 체계화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포럼의 분위기를 이끈 장충모 협회장은 “전남 해상풍력이 국가 에너지 전환의 축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산업계·학계·지자체가 하나의 팀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현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올해만큼 굵직한 성과가 이어진 시기가 드물었다”며 “2035년 30GW 목표를 향한 전 주기 생태계 구축이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해상풍력은 지난 10년간 ‘구상과 계획’을 넘어, 이제 ‘투자와 착공, 그리고 운영의 시기’로 접어들었다. 제도 개편, 집적화단지 지정, 공급망 전략, 인프라 확충 요구, 디지털 융합 흐름까지 모든 조건이 맞물리며 전남이 다시 한 번 대한민국 에너지 전환의 중심에 서고 있다는 평가다.













